시련 4

시련과 행운을 동시에 같이 주는 피그말리온 효과

피그말리온 효과 날마다 복권만 사 모으는 남편이 있었다. 그러다 보니 집안 형편은 엉망이었다. 참다못한 부인이 결단을 내렸다. 그녀는 남편과 헤어졌다. 바로 그날 저녁, 전 남편은 복권에 당첨되어 벼락 부자가 되었다. 일이 꼬여도 이렇게 꼬일 수 있을까. 어느 직장인은 벼르고 벼르다 처음으로 자리를 비웠는데, 생각도 하지 않던 일이 터지고 말았다. 마침 핸드폰마저 꺼져 연락도 되지 않았다. 그런가 하면 업무에 충실하지 않은 어떤 직장인은 늦은 약속 때문에 사무실에 앉아 시간을 보내다가, 사장의 전화를 받고 야근하느라 수고한다고 격려까지 받는다. 살아가다 보면 그런 일이 얼마나 많은가, 세차를 하고 나서면 비가 오고, 우산을 놓고 오면 비가 오고, 급해서 택시를 타면 길이 막히고, 비싼 옷을 사고 나면 며..

진주는 모든 시련의 댓가로 만들어 집니다

서양에서는 시집가는 딸에게 어머니가 진주를 선물로 주는 풍습이 있습니다. 그때의 진주를 가리켜서 "Frozen Tears(얼어붙은 눈물)"이라고 부릅니다. 왜 이런 풍습이 생겼을까요? 아마도 딸이 시집살이하다 속상해할 때, 진주 속의 모래의 고통을 이겨내고 아름다운 진주가 된 것처럼 잘 참고 견뎌내라는 뜻일 겁니다. 진주는 땅에서 캐내는 보석이 아닙니다. 바닷속의 조 개 안에서 만들어집니다. 어쩌다 잘못해서 조개의 몸속으로 모래알이 들어가면 깔깔한 모래알이 부드러운 조갯살 속에 박히게 됩니다. 그때 조개가 얼마나 고통스럽겠습니까? 그렇다고 해서 모두가 진주가 되는 것은 아닙니다. 깔깔한 모래알이 조개의 보드라운 살 속에 박히게 되면 조개는 본능적으로 둘 중에 한 가지를 선택해야 합니다. 하나는 모래를 무..

우리의 인생에서 부족함은 오히려 축복

과유불급이란 말이 있습니다. 과한 것은 부족함만 못하다는 의미입니다. 예를 들어 우리가 음식을 먹을 때도 맛이 있어 욕심껏 먹거나 음식이 아까워 남은 음식을 다 먹다 보면 과식을 하는 경우가 종종 있습니다. 과식을 하고 나면 먹을 때의 기쁨은 잠시뿐이고 한참 동안은 한마디로 괴롭기만 합니다. 항상 지나고 보면 약간 부족한 듯이 먹어야 기분이 좋습니다. 과거 왕들은 수명이 대체로 짧았습니다. 너무나 과하게 갖었고 여색과 음식 등을 과하게 즐겼기 때문입니다. 반면, 조선시대 영조는 52년간이나 왕위를 유지하면서 81세까지 장수를 하였습니다. 소식을 하고 채소위주로 음식을 먹으면서 절제 있는 생활을 했기 때문에 가능했던 것입니다. 겨울철 별미 중 하나가 과메기입니다. 겨울에는 가끔씩 과메기 먹는 가게에서 적당..

득도의 경지에서 용기를 잃지 않는 하루

종이를 찢기는 쉽지만 붙이기 어렵듯, 인연도 찢기는 쉽지만 붙이긴 어렵습니다. 마음을 닫고 입으로만 대화하는 건, 서랍을 닫고 물건을 꺼내려는 것과 같습니다. 살얼음의 유혹에 빠지면 죽듯이, 설익은 인연에 함부로 기대지 마십시오. 젓가락이 반찬 맛을 모르듯 생각으론 행복의 맛을 모릅니다. 사랑은 행복의 밑천 미움은 불행의 밑천입니다. 무사(武士)는 칼에 죽고, 궁수(弓手)는 활에 죽듯이, 혀는 말에 베이고 마음은 생각에 베입니다. 욕정에 취하면 육체가 즐겁고 사랑에 취하면 마음이 즐겁고 사람에 취하면 영혼이 즐겁습니다 그 사람이 마냥 좋지만, 좋은 이유를 모른다면 그것은 숙명입니다. 한 방향으로 자면 어깨가 아프듯, 생각도 한편으로 계속 누르면 마음이 아픕니다. 열 번 칭찬하는 것보다 한 번 욕하지 않는..